2025.05.20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식품안전

9월 청어·전갱이·고등어 어획량 늘고, 참조기·오징어·멸치 줄었다


(한국안전방송) 해양수산부는 올해 9월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8만 6,305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0만 7,515톤)에 비하여 19.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주요 생산량 증가 품목은 청어(1,123톤), 전갱이(2,076톤), 고등어(19,166톤)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하여 각각 116.4%, 91.0%, 55.5% 증가하였다.

반면, 참조기(2,990톤), 오징어(9,719톤), 멸치(13,828톤)는 각각 54.1%, 49.2%, 47.6% 감소하였다. 또한, 갈치와 꽃게는 각각 4,008톤(43.3%↓), 3,872톤(16.7%↓) 감소했다.

청어는 포항, 축산 등 동해 남부 근해에 한류성 어종인 청어에 적합한 수온이 유지되면서 어획량이 증가했다.

전갱이와 고등어는 대마난류 영향을 받는 제주도~서해 중남부 해역에 어장이 형성되면서 대형선망 어업의 어획량이 증가했다.

반면, 참조기는 9월이 주조업시기가 시작하는 시점이나, 태풍 차바의 영향으로 제주도~흑산도 해역 내 근해자망 어업의 조업이 부진하여 어획량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오징어는 강원 연근해에서의 북한한류 세력의 강화에 따라 채낚기어업 어장이 형성되지 않아 어획량이 감소됐다.

갈치는 올 상반기에 어린물고기를 과도어획하여 자원량이 감소하고 어장이 축소하여 어획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멸치는 남해안의 수온 상승으로 산란양이 감소함에 따라 어획량이 감소했다.

배너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