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찔려도 감찰"…출동 경찰 잇단 피습에 현장은 '부글부글'

  • 등록 2025.05.25 08:42:38
  • 조회수 95
크게보기

지난 2월 26일 광주 동구 금남로 한 골목에서 경찰관이 50대 남성이 휘두른 흉기에 찔려 쓰러지는 모습(사진 연합뉴스)

 

112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관이 피습되는 사건이 잇따르면서 지역 경찰의 지휘부에 대한 불만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112 신고 시스템은 가장 가까운 파출소·지구대 소속 경찰관이 현장에 출동하고, 그 윗선인 경찰서가 현장 대응을 지휘하는 구조다. 전체 경찰의 10명 중 4명가량이 파출소와 지구대에서 근무한다.


25일 연합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22일 경기 파주에서 가정폭력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 3명이 범인의 흉기에 찔려 중경상을 입은 사건이 논란의 발단이 됐다.


한 경찰 관계자가 언론에 "출동 지령에 안전장구 착용 지시가 있었으나, 출동 경찰들은 착용하지 않았다"며, 마치 책임을 떠넘기듯 언급한 게 불씨를 댕긴 것이다.


직장인 익명 게시판 '블라인드' 등에선 "권한은 지휘부에 있고, 책임은 현장에만 있느냐"는 취지의 현장 경찰들 불만이 폭발하고 있다.


"살려달라는 신고에 방검복을 다 챙겨 갈 수 있나", "어느 세월에 방검복 찍찍이를 붙이냐. 현실을 모른다"는 취지의 글과 댓글이 수십건 올라왔다.


전국경찰직장협의회도 "경찰청이 피습 경찰을 감찰하고 매뉴얼 위반 여부를 따지겠다고 한다"며 비판 성명을 냈다.


지난해 부상한 경찰은 1천181명. 이 중 범인에게 습격당한 비율은 30.5%(360명)로, 최근 5년 사이 가장 많았다.


올해 2월에도 광주에서 112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관이 흉기에 찔려 중상을 입었으며, 피의자는 실탄을 맞고 사망했다.


경찰청은 신형 방검복과 목 찔림 보호대 등을 보급하고 있으나, 현장에선 수량이 부족하거나 신속한 착용이 어렵다는 등의 반응이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 경찰의 지휘부에 대한 불만은 갈수록 누적되고 있다.


최근 경기도 한 경찰서에서는 새벽 시간대 10분 간격으로 순찰차 위치를 캡처해 보고하라는 지시가 내려왔다가 반발로 취소되기도 했다.


현장과 동떨어진 지휘가 주된 원인이지만, 열악한 근무 환경과 처우와도 무관치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흉기 난동 같은 위험 현장 증가, 하위직 경찰의 잦은 퇴직으로 인한 인력난 등이 겹치며, 지역 경찰 조직이 언제 한계에 이를지 모른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전국 2천44개 지구대·파출소의 절반인 1천200곳은 현원이 정원에 미달하는 상태다.
 

이종옥 기자 imnews584@naver.com

PC버전으로 보기

본 사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광덕3로 135-6 신명타운 2층 201호 전화번호:031-486-7771| 031-411-8123| FAX:031-410-2395 발행인겸대표이사 : 이병걸 | 편집인 : 이병걸 등록번호 : 경기 ,아51039 등록일 :2014년 8월12일 발행일 : 2014년 8월12일